Marie-Louise von Franz
Von Franz: ISFP/INFP 내향적 감정형
ISFP/INFP
주기능 Fi
내향적 감정형(ISFP/INFP)은 감정으로 삶에 적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내면으로 향한다. 이 유형은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융이 심리 유형론에서 “조용한 물이 깊게 흐른다”고 표현한 것도 바로 이 유형을 두고 한 말이다.
이들은 고도로 분화된 가치관을 지니고 있지만, 내면에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겉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매우 중요하고 가치 있는 사건의 배후에는 내향적 감정형이 있음을 우리는 발견하게 된다. 그들의 내향적 감정은 마치 “이것이 정말 진짜야”라고 말하는 것 같다. 그들은 중요하고 가치 있는 내적 사건, 원형적 사건이 일어나는 곳에서 충실한 종처럼 조용히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들은 표준과 기준을 세움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이고 은근한 영향을 미친다. 주변 사람들은 단지 그들을 지켜볼 뿐이다. 그들은 매우 내향적이며 자기표현을 하지 않는 유형이라 말은 하지 않지만, 분명한 기준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내향적 감정형은 그룹의 윤리적 토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윤리적 교훈을 설교하며 다른 사람들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올바른 윤리 기준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조용히 긍정적 영향을 준다.
그들은 올바른 가치 기준을 지니고 있고, 그들이 있는 자리에서는 이 기준에 따라 행동할 것을 무언중에 전달하기에 우리는 자연스럽게 올바르게 행동하게 된다.
외향화된 사고 Te
이 유형의 사고기능은 외향화되어 있다. 내향적 감정형의 사람들은 겉으로는 조용하고 눈에 띄지 않지만, 의외로 많은 외부 사건들에 관심을 보인다. 그들은 의식적인 활동은 적지만, 외향화된 사고 기능을 통해 다양한 외적 분야를 끊임없이 탐색한다.
이들이 외향적 사고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려 할 때는 다른 외향형들이 겪는 전형적인 어려움에 부딪힌다—너무 많은 자료와 사실들에 압도되는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의 열등 기능인 외향화된 사고는 종종 지나치게 세부적인 사항에 매몰되어 방향성을 잃게 된다.
그들의 외향적 사고 기능의 열등성은 주로 한 가지 일에만 몰두하는 편집증적 성향으로 드러난다. 그들은 한두 가지 생각에만 집중한 채 방대한 양의 자료를 검토하는 경향을 보인다.
프로이드의 경우
융은 프로이드의 심리체계를 외향적 사고 기능의 전형적 사례로 보았다. 융은 프로이드라는 인간 자체의 유형을 언급한 적은 없으며, 단지 그의 저서에서 프로이드의 시스템이 외향적 사고를 대표한다고만 지적했다.
내가 여기서 덧붙이고 싶은 개인적 확신은 프로이드가 내향적 감정형이었다는 점이다. 그의 저작에는 열등기능인 외향적 사고의 특징이 뚜렷이 나타난다. 그의 저작들은 기본 개념이 매우 적으며, 단 한두 개의 개념으로 방대한 양의 자료를 다루는데, 이 체계는 완전히 외부 대상을 향해 있다.
프로이드의 전기를 보면 그가 매우 세련된 방식으로 사람들을 대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탁월한 분석가였고,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신사다움’을 지녔는데, 이는 환자들과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프로이드를 볼 때 그의 이론과 한 인간으로서의 인격을 구분해야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내 판단으로는 그가 내향적 감정형에 속한다.
열등기능 Te
열등기능으로서의 외향적 사고의 장점은 앞서 언급했듯이 ‘한두 개의 개념으로 방대한 양의 자료를 다루는’ 능력에 있다. (프로이드는 자신의 꿈 분석이 매우 단조롭다고 토로했는데, 이는 다양한 꿈의 분석 내용이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귀결되어 그 자신조차 지루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적절히 절제될 때 단순하고 명쾌하며 이해하기 쉬운 큰 장점이 된다. 그러나 내향적 감정형은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외향적 사고를 더욱 세밀하게 분화시키고자 한다.
그들은 사고를 더욱 정교화해야 한다고 믿는다. 즉, 개념을 증명하기 위해 인용하는 개별 사실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개념을 매번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접근은 사고를 현실에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대신, 사고와 현실 사이의 지속적인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열등기능으로서의 외향적 사고는 다른 모든 열등기능처럼 부정적 측면을 보이는데, 특히 독단적이고 완고한 성향으로 나타나 객체에 대한 적응을 어렵게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