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Beebe 8기능 모델 3: 사고 프로세스

1. Te 외향 사고 프로세스

Regulating 규제하기(조정)

어떤 활동이나 프로세스를 규칙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

regulate: to control an activity or process, especially by having rules.

Planning 계획하기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미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

plan: to intend to do something

Enforcing 시행하기

사람들이 규칙이나 법을 준수하도록 하는 것.

enforce: to get pleasure from something

ESTJ & ENTJ 유형의 Te(외향 사고) 기능

Te(외향 사고, Extraverted Thinking)는 객관적 논리와 효율적 구조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이다.
ESTJENTJ는 이 기능을 주기능(Dominant Function)으로 사용하며, 실제적 결과를 만들어 내는 데 집중한다.
 
심리기능 Te, 외향 사고 프로세스는  다음의 3 단계로 이루어진다. <심리기능 프로세스>
 
 

(1) Regulating: 시스템과 프로세스의 관리·통제 

Te 유형은 효율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능숙하다.
 
ESTJ: 기존 규칙과 전통을 따르며, 조직 구조를 정리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집중하다. 예를 들어, ESTJ 관리자는 회사 규정을 명확히 설정하고 모든 직원이 이를 따르도록 관리한다.
 
ENTJ: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새로운 구조와 프로세스를 개혁하고 최적화하는 데 집중한다. 예를 들어, ENTJ CEO는 비효율적 시스템을 과감히 제거하고 새로운 전략을 도입하여 회사를 성장시킨다.
 
이들에게는 혼란 방지와 명확한 질서 유지가 중요하다.
 
 

(2) Planning: 목표 설정과 실현 전략 수립 

Te는 논리적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고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우는 능력이 뛰어나다.
 
ESTJ: 현실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 예를 들어, 공무원 ESTJ는 정부 정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상세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ENTJ: 더 크고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사람들을 이끌어 비전을 실현하는 데 집중한다. 예를 들어, 사업가 ENTJ는 10년 후 시장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맞춰 기업 전략을 개발한다.
 
이들에게는 체계적 계획과 실행이 핵심 요소이다.
 
 

(3) Enforcing: 강력한 실행력으로 규칙과 목표 실현 

Te 유형은 계획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ESTJ: 기존 법과 규칙을 엄격히 적용하여 질서를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ESTJ 경찰관은 법을 집행하고 사람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강력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ENTJ: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사람들을 강력히 이끌고 조직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ENTJ 군대 지휘관은 부하들에게 명확한 목표를 전달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한다.
 
이들에게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실행력이 가장 중요하다.
 
 

📌요약 

Te 주기능을 가진 ESTJ & ENTJ는:
 
✅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세스를 관리(Regulating) 
 
✅ 논리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Planning) 
 
✅ 강력한 추진력으로 목표를 실현(Enforcing)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들은 조직을 이끌고, 목표를 달성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리더형 타입이다.

2. Ti 내향 사고 프로세스

Naming

어떤 대상이나 개념에 이름을 부여해 구별하는 것

name: to give someone or something a name

Defining

어떤 개념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

define: to describe something correctly and thoroughly

Understanding

어떤 대상, 개념, 원리의 본질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

understand: to know the meaning of what someone is telling you, the language what they speak, or the reasons for something

ISTP & INTP 유형의 Ti(내향 사고) 기능 설명 

Ti(내향 사고, Introverted Thinking)는 개념을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기능이다. ISTP와 INTP는 이 기능을 주기능(Dominant Function)으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복잡한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정확한 결론을 도출한다.
 
심리기능 Ti, 내향 직관 프로세스는  다음의 3 단계로 이루어진다.
 
 

(1) Naming: 개념을 정리하고 명확한 용어로 구별 

Ti 유형은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정확한 명칭을 사용해 구별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ISTP: 실제적인 기술과 시스템을 다룰 때 정확한 용어로 개념을 명확히 정리한다. 예를 들어, ISTP 엔지니어는 자동차 부품을 세밀하게 분류하고 각 부분의 역할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INTP: 철학적이고 이론적인 개념을 다루며,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정리해 명명한다. 예를 들어, INTP 학자는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용어를 개발할 수 있다.
 
이들에게는 정확한 개념 정리와 명확한 표현이 중요하다.
 
 

(2) Defining: 개념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정의

 
Ti는 정보를 분석해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는 개념을 정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ISTP: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구체적인 개념을 논리적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ISTP 프로그래머는 알고리즘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정의해 코드로 구현할 수 있다.
 
INTP: 이론적인 문제를 깊이 탐구해 개념의 본질을 철저히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INTP 물리학자는 자연 법칙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새로운 이론을 정립할 수 있다.
 

이들에게는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다.

(3) Understanding: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본질을 이해 

Ti 유형은 표면적인 정보가 아닌 그 속에 숨겨진 원리와 논리를 깊이 있게 이해하려 한다.
 
ISTP: 실용적인 분야에서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깊이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ISTP 정비사는 엔진의 구조를 철저히 이해하고 문제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파악해 해결할 수 있다.
 
INTP: 복잡한 이론적 개념을 연구하며, 기존 이론을 검토하고 새로운 이해를 발전시킵니다. 예를 들어, INTP 철학자는 사회적 개념의 근본적 의미를 탐구하고 새로운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이들에게는 표면적인 지식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핵심이다.
 
 

요약 

Ti 주기능을 가진 ISTP & INTP는:
 
개념을 정리하고 명확한 용어를 사용해 구별(Naming) 

논리적으로 개념을 분석하고 정확한 정의를 내림(Defining) 

표면적인 정보가 아닌, 본질을 깊이 이해하려 함(Understanding)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들은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깊이 있는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형 타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