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Beebe 8기능 모델 1: 감각 프로세스
1. Se 외향 감각 프로세스
Engaging 몰입하기
무언가가 흥미를 유발하여 계속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
engage: if something engages your interest or attention, it makes you stay interested
engage: if something engages your interest or attention, it makes you stay interested
Experiencing 경험하기
직접 경험하고 체험하는 것
experience: if you experience something, it happens to you
experience: if you experience something, it happens to you
Enjoying 즐기기
즐기고, 그 과정에서 만족감을 얻는 것
enjoy: to get pleasure from something
enjoy: to get pleasure from something
ESTP & ESFP 유형
Se(외향 감각, Extraverted Sensing)는 즉각적인 경험과 현재 순간의 현실 감각을 중시하는 기능이다.
ESTP와 ESFP 유형은 이 기능을 주기능(Dominant Function)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그들의 행동 패턴, 의사결정 방식, 그리고 삶을 대하는 태도에 깊이 반영된다.
심리기능 Se, 외향 감각 프로세스는 다음의 3 단계로 이루어진다. <심리기능 프로세스>
(1) Engaging: 즉각적인 관심과 몰입
Se 유형은 새로운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현재 상황에 깊이 몰입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주변 환경의 흥미로운 요소를 재빨리 포착하고, 그 순간을 놓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ESTP는 즉흥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뛰어들며,
ESFP는 자연스럽게 사람들과 교류하며 에너지를 발산한다.
이들은 대화할 때 상대방의 말투, 표정, 분위기를 예민하게 감지하고, 청중을 사로잡는 특별한 매력이 있다.
(2) Experiencing: 직접 체험을 통해 배우고 적응
ESTP와 ESFP는 “이론보다는 실제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ESTP: 위험과 스릴을 즐기며, 몸으로 부딪히며 배우는 타입.
예를 들어, 이들은 새 운동을 배우거나 사업을 시작할 때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직접 뛰어들어” 경험을 쌓는다.
ESFP: 다양한 감각적 경험(음악, 춤, 여행 등)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며,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즉각적인 해결책을 찾아낸다.
(3) Enjoying: 감각적 즐거움을 극대화
Se 유형은 단순히 경험하는 것을 넘어 순간의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다.
ESTP: 신체적 도전(스포츠, 익스트림 스포츠), 경쟁적인 게임, 비즈니스 거래에서 스릴을 즐긴다.
ESFP: 공연, 파티, 친구들과 어울리는 활동 등 감각적으로 즐거운 순간을 소중히 여긴다.
이들에게 “삶이란 모험”이며, 매 순간을 생생하고 강렬하게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
Se 주기능을 가진 ESTP & ESFP는:
새로운 자극과 활동에 빠르게 몰입(Engaging)
이론보다는 직접 부딪히며 체험(Experiencing)
현재 순간을 만끽하며 즐김(Enjoying)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들은 즉흥적이고 활동적이며, 경험 중심적인 삶을 살아가는 타입이다.
2. Si 내향 감각 프로세스
Implementing 실행하기(구체화)
계획이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실현하는 것
implement: if you implement a plan or process, you begin to make it happen
implement: if you implement a plan or process, you begin to make it happen
Verifying 검증하기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
verify: to check or prove that something is true or correct
verify: to check or prove that something is true or correct
Accounting
어떤 것의 원인을 설명하거나 특정 비율을 차지하는 것
account: to be a particular part of an amount. to be the reason for something, or to explain the reason for something
account: to be a particular part of an amount. to be the reason for something, or to explain the reason for something
ISTJ & ISFJ 유형
Si(내향 감각, Introverted Sensing)는 과거의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을 검증하는 기능이다.
ISTJ와 ISFJ는 이 기능을 주기능(Dominant Function)으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하고 실용적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심리기능 Si, 내향 감각 프로세스는 다음의 3 단계로 이루어진다.
(1) Implementing: 계획을 실행하고 실현하는 능력
Si 유형은 실제로 적용 가능한 방식으로 계획을 실행하는 데 강점이 있다.
ISTJ: 주어진 규칙과 절차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계획을 세우고 차근차근 실행한다. 예를 들어, ISTJ 관리자는 업무 프로세스를 명확히 정리하고 철저히 실행한다.
ISFJ: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타인의 필요를 고려해 현실적인 방식으로 도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간호사 ISFJ는 환자의 치료 계획을 꼼꼼히 따르면서도 세심한 배려를 더한다. 이들은 익숙한 방식과 검증된 절차를 바탕으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
(2) Verifying: 과거의 경험과 사실을 기준으로 현실을 확인
Si는 새로운 정보를 받았을 때 기존의 경험과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특성이 있다.
ISTJ: 규칙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실을 확인하며,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중요시한다. 예를 들어, 보고서 작성 시 철저한 검토 과정을 거쳐 오류를 방지한다.
ISFJ: 과거의 경험과 감각적인 기억을 통해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편안한 방식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예를 들어, 가족 전통을 소중히 여기며, 새로운 방식보다는 효과가 입증된 방식을 선호한다.
이들에게는 “변함없는 신뢰성”이 중요하며, 즉흥적인 변화보다 검증된 방식을 따르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여긴다.
(3) Accounting: 원인 분석과 체계적인 기록
Si 유형은 과거의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해 일관된 방식으로 정보를 정리하고 정확한 기록을 유지한다.
ISTJ: 업무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문서화하고 세부 사항까지 철저히 점검한다. 예를 들어, 회계 담당 ISTJ는 모든 거래 내역을 정확하게 정리하여 실수 없이 재무를 관리한다.
ISFJ: 감정적인 기억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필요를 세심하게 파악하며, 주변인의 감정을 고려하며 체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의 취향과 필요를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정의 조화를 이룬다.
이들은 과거의 데이터와 경험을 토대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요약
Si 주기능을 가진 ISTJ & ISFJ는:
체계적으로 계획을 실행(Implementing)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을 검증(Verifying)
원인을 분석하고 정확하게 기록(Accounting)
이러한 특성 덕분에 이들은 신뢰할 수 있고, 철저하며, 안정적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