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bel Briggs Myers

Gifts Differing 천개의 얼굴

Gifts Differing

서로 다른 천부적 재능들

성격차이에 대한 체계적 이유

이 책-Gifts Differing-은 C.G. Jung의 심리 유형론의 관점으로 많은 문제들을 바라볼 때 더 쉬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신념으로 집필했다. 나의 어머니 Katherine C. Briggs께서 Jung의 이론을 우리 가족에게 소개하신 이후, 이 이론은 우리 삶의 일부가 되었다. 어머니와 나는 심리 유형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내향-외향 성향뿐 아니라 인식과 판단 성향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오랫동안 바랐다. 1942년 여름, 우리는 마침내 이 일에 착수했고, 그 결과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성격 유형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를 폭넓게 제공하는 도구로 발전했다.

이 책이 완성되기까지는 삼대가 걸렸다. 유형의 의미를 깊이 통찰하는 나의 어머니(INFJ)의 내향 직관, 유형의 실제적 적용을 중시하는 내향 감정형인 나(INFP)의 신념, 그리고 나의 아들 Peter(ENFP)의 외향적 관점, 직관적 탐색력, 표현력, 우선순위에 대한 감각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이 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유형이론

유형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겉으로는 무작위해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일정한 원리를 따른다는 이론이다. 즉, 인간의 행동은 심리 작용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기본적이고 관찰 가능한 차이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기본적 차이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정신작용 방식, 특히 인식하는 방식과 판단하는 방식에서 발견된다. 인식(perceiving)이란 사물, 사람, 사건, 생각을 깨닫고 이해하는 기능이며, 판단(judging)은 이미 인식한 것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기능이다.

인간의 정신 활동 대부분은 이러한 인식과 판단에서 비롯되며, 이 두 기능은 사람들의 외적 행동을 크게 좌우한다. 인식은 상황을 이해하는 범위를 결정하고, 판단은 이해한 것을 토대로 행동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두 가지 인식방식

융(Jung)이 그의 저서 ‘심리유형(Psychological Types)’에서 지적했듯이, 인간은 뚜렷이 대비되는 두 가지 인식방식을 지니고 있다. 하나는 감각(感覺, sensing)이라는 익숙한 과정으로, 오감을 통해 사물을 직접적으로 인식한다. 다른 하나는 직관(直觀, intuition)이라는 과정으로, 착상이나 연상을 통해 간접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즉, 직관이란 외부로부터 받은 인식에 무의식이 더해진 것이다.

이 두 가지 인식방식은 한 사람의 주의력을 두고 서로 경쟁하는 관계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아기부터 둘 중 하나를 더 선호하게 된다. 감각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주변의 현실에 더 관심을 기울이며, 추상적이고 모호한 생각에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반면 직관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직관이 제시하는 가능성을 추구하는 데 더욱 몰두하여, 현실적인 측면은 다소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두가지 판단방식

판단에서의 기본적인 차이는 결론을 내리는 두 가지 뚜렷이 대비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하나는 사고(思考, thinking)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논리적 과정을 통해 객관적인 판단에 도달한다. 다른 하나는 감정(感情, feeling)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가치관을 바탕으로 판단을 내린다. 두 방식 모두 합리적이다.

이 두 가지 판단 방식의 차이는 분명하다. 사람들은 때로는 사고로, 때로는 감정으로 결정을 내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두 방식이 동일한 사실을 마주하더라도 항상 같은 결론에 이르지는 않는다는 점을 인정한다. 더 나아가 이론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방식들보다 자신이 더 선호하고 신뢰하는 특정한 판단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인식과 판단의 결합, ST/SF/NF/NT

이러한 결합의 각 형태는 서로 다른 개성을 만들어내며, 이는 관심사, 가치관, 욕구, 성질, 그리고 자연스러운 행동 경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난다.

같은 결합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를 쉽게 이해하고 좋아하게 된다. 이들은 동일한 인식 형태를 공유하여 비슷한 관심사를 가지며, 같은 판단 형태를 공유하여 같은 사실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반면, 서로 다른 선호를 가진 사람들은 상호 이해와 예측이 어렵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지인 관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함께 일하는 동료나 친한 친구, 또는 가족 구성원일 경우에는 지속적인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심각한 충돌은 두 사람이 서로 다른 인식과 판단 방식을 사용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러한 충돌의 근원을 이해하면 갈등으로 인한 고통이 줄어들고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직업이 개인의 타고난 인식과 판단 결합 형태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반대되는 결합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때, 개인과 직업 사이에 더욱 심각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gifts diff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