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l Gustav Jung
Carl Jung 칼융의 외향 판단
1. 외향 판단(E_TJ/FJ)의 특성
1. 외향판단 – 합리적유형의 정의와 특성
2. 의식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
3. 합리적 유형의 의식과 무의식


2. 외향 판단(E_TJ/FJ)의 무의식
1. 무의식의 영향과 결과
이로 인해 외향적 사고형과 외향적 감정형 – 외향 판단- 두 유형의 무의식에는 독특한 특징이 나타난다.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행위를 할 때는 매우 이성적(그들의 기준에 따라)으로 행동하지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일들을 대할 때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때는 두 가지 미성숙한 특징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유아적-원시적 감각의 특성을, 다른 하나는 유아적-원시적 직관의 특성을 보인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관점에서 볼 때,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사건이나 경험이 비합리적으로 느껴진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계획을 세워 행동하기보다는 일어나는 일들을 자연스럽게 겪으며 살아간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항상 이성적으로 행동하려는 이 유형의 사람들이 오히려 비이성적으로 보일 수 있다. 한 사람의 무의식이 의식보다 더 강렬한 인상을 주며, 실제 행동이 그가 주장하는 이성적 의도보다 더 깊은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두 유형의 합리성은 외부 세계를 중심으로 하며, 객관적 사실에 기반하여 판단하고 행동한다. 이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거나 자신이 속한 사회나 집단에서 이성적이라고 여겨지는 것만을 합리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이성적 판단에도 상당한 주관적, 개인적 측면이 존재한다. 외향적 사고형과 외향적 감정형은 이러한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생각과 감정을 억압하는데, 외부 대상의 의미가 클수록 이러한 억압은 더욱 강해진다. 이렇게 되면 개인의 독특한 생각과 판단력이 계속해서 억눌리게 되고, 한번 억눌린 후에는 무의식이 대신 그 사람의 행동을 지배하게 된다.
2. 무의식의 부정적 표출
이때 무의식은 매우 부정적인 특성을 띠게 되며 유아적이고 원시적인 욕구로 나타나는데, 주로 두 가지 형태를 보인다. 첫째, 원시적 감각들이 더해지면서 강박적인 감각 추구로 표출된다. 이는 강박적 향락 중독(알코올 중독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원시적 직관이 더해지면 당사자와 주변인들에게 직접적인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혐오스럽거나 고통스러운 면모, 적대적이고 추한 특성들을 지나치게 예민하게 감지하거나 추측하게 된다. 이러한 직관은 대체로 진실의 일부만을 담고 있어 악의적인 오해를 만들어내기 쉽고, 이로 인해 대인관계가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의식이 저항하려 하지만, 무의식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의식의 이성적 통제력은 점차 약해진다. 그 결과, 감각적 자극의 강도와 무의식적 의미가 우연한 사건들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어 이러한 우연성에 속박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결국, 사람들은 자신의 감각적 경험과 예측하지 못한 일들에 지나치게 영향을 받아 이러한 우연한 사건들의 포로가 되고 만다.
- 갑자기 특정 취미나 활동에 강박적으로 빠져듦
-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면을 지나치게 예민하게 감지하여 오해를 하게 됨
- 우연한 사건이나 경험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게 됨
- 퇴근 후 우연히 들른 식당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그 후로 그 음식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 동료가 무심코 한 말에서 과도하게 부정적인 의미를 찾아내어 심각한 오해가 생긴다.
- 우연히 좋은 일이 있었던 장소나 시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그곳이나 그 시간만을 고집한다.
- 강박적인 감각 추구: 평소에는 매우 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행동하는 회사원이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갑자기 도박에 빠지거나, 과도한 음주나 쇼핑 중독과 같은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 왜곡된 직관적 해석: 업무 미팅에서 동료의 표정이나 말투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해석하여, 실제로는 없는 적대감이나 음모를 의심하게 된다. 이는 대인관계를 심각하게 해칠 수 있다.
- 통제력 상실: 평소의 이성적인 판단력이 약해지면서, 우연한 사건이나 경험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성공적인 발표를 했다고 해서 그 이후로는 그 시간에만 중요한 일을 하려고 고집하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다.